상 세 정 보 



#SIZE

국악기 훈
흙으로 만든 악기로 검은색은 염색을 하였습니다. 색상이 일정치 못하고 얼룩덜룩 합니다..
무늬도 제각각이며 군데군데 패임이 있습니다.
연습용으로나 쓰는거고 연주용은 아닙니다..
앞지공 :6개, 뒷지공:2개 입니다.

시대: 고려
성격 : 관악기
재질: 
관련의례 : 문묘제례악
[네이버 지식백과] 훈 [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예종 이래 지금까지 아악에서 사용된다. 흙을 구워 만든 토부 악기다. 큰 홍시 모양으로 바닥은 평평하고 위는 뾰족하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높이는 3촌 7푼, 가운데 둘레 8촌, 밑바닥지름 1촌 7푼이다. 취구는 위에 있으며, 지공은 앞에 3개, 뒤에 2개로 모두 5개가 있다.

중국에서는 주나라 이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도입한 대성아악(大晟雅樂) 중에 다른 아악기와 함께 최초로 들어왔다. 그 이래 모든 아악의 등헌가에 사용되었는데, 특히 세종 때에 옛 제도를 따라 개조한 것이 현재까지 전해오며, 지금도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된다.

취구에 아랫입술을 가볍게 대고 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데, 다섯 구멍을 모두 막으면 황종(c)이, 모두 열면 응종(b)이 소리나며, 반규법(半竅法)을 사용하여 겨우 12율을 모두 얻는다.『시경』소아(小雅)에 “백씨는 훈을 불고 중씨는 지(篪)를 분다.”고 하여, 훈과 지는 형제의 의합함에 비유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훈 [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